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건강과 다이어트에 좋은 쌀 추천 및 황미 효능

by 미듀사장 2023. 6. 4.
728x90
반응형

밥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을만큼 한국인의 밥상에 중요한 탄수화물인 쌀

 

우리가 흔히 먹는 백미는 현미를 도정하여 쌀겨층과 씨눈을 완전히 제거하여 식용으로 하는 배젖 부분만을 남긴 쌀입니다. 

 

백미의 표준 화학조성은 100 g당 수분 14.1 %, 단백질 6.5 %, 지방질 0.4 %, 당질 77.5 %, 섬유 0.4 %, 회분 0.5 %, 열량 340 kcal로서 영양적으로는 탄수화물원으로 생각되므로 다른 영양소는 부식으로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또 비타민 B1 함량은 100 g당 0.1 mg밖에 되지 않아 매우 적어서 백미만을 많이 섭취했을 경우에는 비타민 B1 결핍증인각기병이 발생하므로 비타민 B1의 섭취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백미는 현미보다 영양가가 떨어지지만 밥을 지었을 때 맛이 좋고 소화흡수가 잘 됩니다. 그러나 저장 중 현미보다 변질되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온도가 낮고 습기가 적은 장소에 저장해야 합니다.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진 현미는 수확, 건조된 벼의 낟알에서 왕겨만을 벗겨낸 쌀입니다.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단백질 7.4%, 지질 3.0%, 당질 71.8%, 섬유 1.0%, 회분 1.3%, 비타민 B1은 100g 중 0.54mg으로 당질(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이나 지방은 많지 않습니다. 비타민 B1은 많습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나 미생물의 해가 적습니다. 또 현미는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합니다. 또 가공으로 인한 양의 감소도 없습니다.

이런 점으로 현미식의 제창이 성하였으나, 맛이 백미보다 못하고 영양분이 충분히 소화·흡수되지 않으며, 밥짓기가 어려운 까닭으로 보급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어떤 쌀을 먹어야 좋을까요?

 

현미의 영양분과 백미의 소화흡수력을 가진 황미를 추천합니다. 

 

황미는 현미의 단단하고 까칠한 쌀겨층을 절반정도만 벗겨낸 현미와 백미의 중간정도의 쌀입니다.

맛도 좋고 영양소도 높고 소화도 잘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